티스토리 뷰
목차
소비로 희망을 만들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정부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통합 소비축제로, **“희망이 되는 소비, 함께 성장하는 경제”**를 비전으로 내세운다.
이 행사는 단순한 세일 행사가 아닌, 전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소비 진작 캠페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5년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12일간 열린 이번 축제는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형태로, 소비 촉진과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목표로 한다.

축제의 주요 구성과 참여 방식
이번 페스티벌은 크게 네 가지로 구성된다.
- 동행축제: 국민 참여형 소비 행사로, 다양한 현장 이벤트가 진행된다.
- 코리아세일페스타: 전국 유통업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할인 행사.
- 코리아듀티프리페스타: 면세점 중심의 외국인 관광객 대상 세일.
- 농축산물 할인행사: 지역 농축산물의 소비 촉진을 위한 특별 세일.
정부와 민간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통합 소비축제로, 전통시장부터 백화점, 온라인몰, 관광지까지 모든 소비 분야가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소비자 혜택과 특별 할인 정책
행사 기간에는 다양한 할인과 환급 정책이 함께 진행된다.
- 지역사랑상품권 및 온누리상품권 할인율이 최대 25%까지 확대되어 체감 혜택이 커졌다.
- 인구감소지역에는 최대 15%포인트의 추가 환급이 제공된다.
- ‘상생소비복권’ 제도가 신설되어, 전통시장이나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결제 시 복권 응모가 가능하다.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대의 기회를, 소비자에게는 추가 혜택의 즐거움을 제공한다.


참여 기업과 대규모 할인 행사
전국의 주요 대형 유통업체와 중소상공인들이 모두 참여한다.
- **대형마트(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에서는 제철 농축수산물과 생활용품을 최대 50% 할인한다.
- **가전업계(삼성·LG전자 등)**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10% 정부 환급이 포함된 대규모 세일을 진행한다.
- 소상공인 온라인몰에서는 최대 70% 할인 상품이 제공되어, 중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지원한다.
이처럼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함께 참여해 상생경제의 모범 모델을 보여준다.


문화·관광 연계 프로그램
이번 축제는 단순한 소비행사를 넘어 문화·관광이 결합된 국민 축제다.
- **4대 궁(경복궁·창덕궁·덕수궁·창경궁)**과 종묘, 조선왕릉이 행사 기간 동안 무료 개방된다.
- 전국 각지에서는 문화·관광·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국민이 문화적 여유를 즐길 수 있다.
- 숙박세일페스타를 통해 2만~5만 원 숙박 할인권이 제공되고, 관광열차·항공·버스·캠핑장·투어패스 등은 최대 50% 할인이 적용된다.
이로써 국민의 여행비 부담을 줄이고, 국내 여행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해외 관광객을 위한 특별 행사
APEC 정상회의 기간에 맞춰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특별 이벤트도 진행된다.
- 면세점 세일: 최대 50% 할인 혜택 제공.
- 글로벌 온라인몰 ‘KOREA SPECIAL ZONE’ 운영으로 역직구 특별전 개최.
- 인천공항 등 주요 거점에서는 다국어 안내, 웰컴 키트 증정,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이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들은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알리는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가치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단순한 할인행사가 아닌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국가 전략 행사이다.
- 소비 진작을 통해 경기 회복의 흐름이 전 산업으로 확산된다.
- 지역 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대로 지역경제가 살아난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소비 혜택을 통해 생활 안정과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기업과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소비 문화는 사회적 연대감 형성과 건전한 소비문화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소비와 문화를 연결하여 경제를 살리고, 국민에게 즐거움을 주는 국가적 프로젝트다.
정부, 기업, 소상공인이 함께 만들어가는 상생형 축제로서,
국민 모두가 참여해 **“소비로 희망을 만드는 대한민국”**을 실현하는 상징적 행사로 자리매김했다.